장례식장 조문 예절: 조문 순서, 향 피우는 법, 복장, 부의금 금액 및 절하는 방법 총정리
장례식장에서의 조문 예절은 유족에 대한 예의와 존경을 표현하는 중요한 방식입니다. 그러나 장례식 참석 경험이 많지 않다면 조문 순서, 향 피우는 법, 복장, 부의금(조의금) 금액, 절하는 법 등에 대해 궁금한 점이 많을 수 있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장례식장에서의 올바른 조문 방법과 기본적인 매너를 상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.
1. 장례식장 조문 순서
장례식장에 도착하면 아래 순서에 따라 조문을 진행합니다.
✅ 1) 방명록 작성
✔ 장례식장 입구에서 방명록을 작성합니다.
✔ 이름과 연락처를 남기는 경우가 많으며, 조문객이 많으면 생략할 수도 있습니다.
✅ 2) 부의금(조의금) 전달
✔ 부의금은 현금으로 봉투에 담아 유족에게 전달합니다.
✔ 부의금 봉투에는 "謹弔(근조)" 또는 "부의"라고 적습니다.
✔ 금액은 상황에 따라 다르며, 일반적으로 3만 원~10만 원이 일반적입니다. (아래에서 상세 설명)
✅ 3) 영정 앞에서 조문
✔ 헌화 또는 향을 피우며 고인에게 마지막 인사를 올립니다.
✔ 불교식, 기독교식, 천주교식 등 종교에 따라 방식이 다를 수 있습니다.
✅ 4) 유족에게 위로 인사
✔ 유족에게 "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" 또는 "깊은 애도를 표합니다"라고 짧고 정중하게 말합니다.
✔ 필요 이상의 말을 길게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.
2. 장례식장 향 피우는 법 (헌화 방법)
✔ 불교식 조문:
1️⃣ 분향(향을 피움) → 2번 절 → 묵념 → 1번 절
2️⃣ 향을 피울 때는 오른손으로 향을 들고, 왼손으로 받친 후 향로에 꽂습니다.
3️⃣ 절을 마친 후 조용히 자리를 떠납니다.
✔ 기독교식 조문:
1️⃣ 헌화(꽃을 올림) → 묵념 또는 기도
2️⃣ 꽃을 들고 줄기를 영정 쪽으로 향하게 하여 헌화합니다.
3️⃣ 절은 하지 않고, 묵념 후 조용히 물러납니다.
✔ 천주교식 조문:
1️⃣ 성호를 그리며 기도 → 헌화 또는 묵념
2️⃣ 절하지 않고 조용히 물러남
✔ 일반 조문 (비종교식):
1️⃣ 묵념 후 절을 올림
2️⃣ 간단한 인사 후 조용히 자리 이동
3. 장례식장 복장 (조문 시 옷차림)
✔ 남성 조문 복장
- 검은색 정장, 검은색 셔츠 또는 흰 셔츠, 검은 넥타이 착용
- 신발은 단정한 검은 구두 또는 어두운 색 계열 추천
- 화려한 액세서리는 지양
✔ 여성 조문 복장
- 검은색 원피스 또는 검은색 정장 착용
- 짧은 치마나 노출이 심한 옷은 피하기
- 검은색 스타킹과 단정한 구두 착용
✔ 캐주얼 복장 가능할까?
- 갑작스러운 조문 시 어두운 색상의 단정한 옷차림이면 무난합니다.
- 운동복, 청바지, 샌들 등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.
4. 부의금(조의금) 금액 & 봉투 작성법
✔ 부의금 금액 기준 (일반적인 예시)

✔ 부의금 봉투 작성법
1️⃣ 봉투 앞면: "謹弔(근조)" 또는 "부의"라고 적음
2️⃣ 봉투 뒷면: 조문객의 이름을 씀 (예: 홍길동)
3️⃣ 현금은 새 지폐보다는 약간 사용된 지폐가 예의상 더 적절함
5. 절하는 방법 (조문 시 예절)
✔ 절하는 순서
1️⃣ 영정 앞에서 두 손을 모은 후 가볍게 인사
2️⃣ 큰 절을 한 번 (남성은 왼손 위로, 여성은 오른손 위로)
3️⃣ 묵념 후 다시 한 번 절
4️⃣ 마지막으로 유족에게 가볍게 목례
📌 주의할 점
- 절을 너무 빠르게 하지 않고, 차분한 마음으로 고인을 기리는 자세가 중요
- 유족과 인사를 나눌 때는 긴 말보다 짧고 진심 어린 위로가 좋음
6. 장례식장 조문 시 피해야 할 실수
✔ 너무 큰 소리로 이야기하거나 웃지 않기
✔ 유족에게 지나치게 깊이 질문하지 않기 ("왜 돌아가셨나요?" 등은 실례)
✔ 부의금을 전달할 때 금액을 언급하지 않기
✔ 장례식장에서 사진 촬영 금지
7. 마무리: 장례식장에서의 올바른 조문 예절
장례식장 조문은 유족에 대한 예의와 고인에 대한 마지막 예를 갖추는 자리입니다.
✔ 부의금은 적절한 금액을 준비하여 정중하게 전달
✔ 올바른 복장과 조용한 태도로 예의를 지키기
✔ 절하는 법과 향 피우는 방법 숙지 후 조문
장례식에 처음 참석하는 분들도 이 가이드를 참고하면 올바른 조문 예절을 지킬 수 있습니다.